한국독성학회

공지사항

비회원이 작성한 글입니다!

글작성시 입력했던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목록 윗글 아랫글
게시글 내용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6월 수상자 서영준 교수 선정
2010/09/27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6월 수상자 서울대학교 서영준 교수 선정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 편집위원장이신 서영준 교수님께서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수상자로 선정되셨습니다. 축하드립니다.


· 분자지표를 이용한 암예방 신소재탐색 및 작용기전 규명

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재단은 분자지표를 이용한 암예방 신소재 탐색과 그 작용 기전을 규명한 공로로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서영준(徐榮俊)교수를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6월 수상자로 선정하였다.
서 교수는 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재단의 지원을 받는 국가지정연구실 사업의 연구책임자로써 암화과정과 관련된 세포내 신호전달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분자지표를 표적으로 하는 발암제어 기술을 구축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식품유래 파이토케미컬(phytochemical)들을 포함한 암 예방 신소재를 발굴하고 그 작용기전을 규명하는 연구에 주력하고 있다.

특히 발암과정과 관련된 분자지표 발굴에 필수적인 표적유전자와 유전자 변형 동물 모델을 이용한 연구를 통해 국제적인 경쟁력을 확보하였으며 연구의 첨단성과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다.

최근 독성이 없는 안전한 화합물을 이용하여 암화과정을 제어하려는 이른바, 화학 암예방(Chemoprevention)이 암 발생률 및 사망률을 실질적으로 낮출 수 있는 새로운 전략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암화과정에서 교란되는 세포내 신호전달 회로를 타깃으로 하는 화학 암예방은 최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미국 암 연구소를 비롯한 세계 유수 연구기관들에서도 이와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서 교수는 염증 및 산화적 스트레스가 다단계 발암 과정 중 촉진단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에 주목하였다. 세포내 신호전달 조절을 통해 염증억제 및 산화적 손상방어 유전자 발현을 유도함으로써 화학적 암예방 효능을 나타내는 식이 파이토케미컬들을 탐색하고 이들의 작용기전을 분자수준에서 규명하여 국제 학회와 학술지에 꾸준히 보고해왔다.

서 교수는 지난 10년간 발암기전 및 암예방 관련 연구로 SCI급 국제 학술지에 10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특히 2003년에는 이 분야 연구의 최상급 국제학술지에 속하는 <네이쳐 리뷰> (impact factor 36.6)에 국내 학자로는 최초로 초청되어 총설 논문을 게재하였다. 서 교수는 이밖에 암 연구 분야의 대표적 전문학술지인 Carcinogenesis, Cancer Letters, Molecular Carcinogenesis, Mutation Research, Current Cancer Therapy Review를 포함한 10여개 SCI 국제 학술지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CRC Press, Taylor & Francis, Springer-Verlag 등 국제 유수 출판사에서 간행되는 단행본의 수석 편집인으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현재 서 교수 연구실이 보유하고 있는 분자지표를 이용한 발암기전 및 암예방 식품소재의 평가 및 활용기술을 한 단계 발전시켜 고부가 암예방 의약식품 소재의 생산을 위한 체계적인 연구로 발전시킬 경우 21세기를 주도할 의약식품 및 생명공학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국제적인 기술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아울러 암예방 의약식품의 실용화는 관련 생명공학 산업뿐만 아니라 예방의학으로의 기술 확산을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암에 대한 개인적 감수성의 차이를 고려한 맞춤형 의약식품으로 암을 예방 할 수 있게 될 경우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의료비를 절감하고 국민건강유지 및 증진에 기여함으로써 국가경제 발전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붙임자료: 1. 용어설명 2. 이력사항 3. 수상업적
목록 윗글 아랫글